어느 주식이든 상승할 모멘텀이 있어야 주가가 크게 상승합니다. 최근 사람들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테마 중 하나가 애플 관련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애플은 누구나 아는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의 하드웨어와 iOS, macOS 등의 소프트웨어를 설계, 디자인하는 기업입니다. 이와 더불어, 애플은 미래 먹거리로 혼합현실(MR), 전기차 시장 진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2022년 11월 11일 기준 약 2.34조 달러(약 3,300조)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입니다.
회사의 규모가 큰 만큼 많은 협력 업체로부터 반도체, 카메라 모듈 등 필요한 부품을 납품받아 아이폰과 같은 IT 기기를 제작합니다. 애플에 공급하는 회사의 매출은 애플이 생산하는 제품의 성과와도 크게 직결되어 있습니다.
이에 애플 관련 뉴스 또는 성과에 따라 관련주들의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애플과 관련된 주식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추후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에 대한 최신 내용 및 전망은 마지막에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애플 관련주, 대장주 9종목
1) 애플 대장주 LG이노텍
LG이노텍이 대장주로 선정된 이유는?
LG이노텍은 지난 2010년 아이폰 모델에 500만 화소 카메라 모듈을 처음 공급한 이래로 지금까지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스마트 기기 카메라 모듈 부품은 사실상 LG이노텍이 독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애플과의 신뢰가 매우 두텁습니다. 이에 애플 대장주로 선정되었으나, 시장의 상황에 따라 대장주는 언제나 바뀔 수 있습니다.
기업소개
LG이노텍과 연결회사는 광학솔루션, 기판소재, 전장부품 사업을 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해 전자부품 사업을 별도 사업담당체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 부문별 주요 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 광학솔루션: 카메라 모듈 등
- 기판소재: 포토마스크, 반도체 기판 등
- 전장부품: 모터/센서, 차량 통신 등
매출은 광학솔루션 사업부가 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1% 증가, 영업이익은 31.7% 증가, 당기순이익은 18.9% 증가했습니다.
매출 비중이 가장 큰 광학솔루션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9% 성장했습니다. 신모델을 적기에 개발하고 경쟁력 있는 품질을 확보하며 매출이 급성장했습니다. 기판 부문은 매출이 20%, 전장부품 부문은 25% 증가했습니다.
LG이노텍은 향후 신제품 개발, 무인화/지능화와 연계된 분야에서 경쟁력을 향상해 시장을 선도해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애플 관련주 덕우전자
덕우전자가 관련주로 편입된 이유는?
덕우전자는 애플에 카메라 모듈을 10년 넘게 납품하고 있는 LG이노텍에 주요 부품을 공급하여 애플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동사는 '2021년 애플 공급사 리스트'(2021 Apple Supplier List) 명단에 포함되었습니다.
기업소개
덕우전자는 2017년 8월 28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으며, 초소형 카메라 모듈(CCM)에 장착되는 소형 프레스 부품과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고 판매합니다.
동사의 '스티프너(Stiffener)'는 카메라 모듈 내 이물질 침입으로 인한 제품 내부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전자파로 인한 장애 발생을 줄이고 제품의 안정성을 제고시켜줍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84.3% 증가했습니다.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율이 개선됐습니다.
판관비, 인건비 및 복리후생비와 같은 비용 절감에 성공하면서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이 666.7% 증가하면서 이자 비용의 증가 폭을 상쇄시켰으며, 법인세비용은 전년동기대비 감소하면서 당기순이익이 개선됐습니다.
3) 애플 관련주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관련주인 이유는?
SK하이닉스는 애플이 공개한 공급만 목록에 포함된 기업 중 하나로, 애플에 아이폰용 메모리 칩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업소개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고,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동사의 주요 제품으로는 DRAM, 낸드플래시,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가 있습니다.
2007년에는 시스템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출하였습니다. 2020년 10월 인텔의 NAND 사업을 21년 10월 키파운드리 지분을 100% 양수하기로 결정하며 반도체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세계 반도체시장 점유율은 D램 약 28%, 낸드플래시 14% 수준입니다.
기업실적
SK하이닉스는 2분기 견조한 반도체 수요에 힘입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D램 평균 판매가격(ASP)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이 증가하고 달러 환율이 높아지며 전체적인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데이터센터용 칩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2분기 동안 주력제품인 D램·낸드플래시 등에서 매출이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올 하반기부터는 IT 기기 판매량이 저조해지면서 메모리 반도체 판매량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내년 설비 투자 계획을 기존보다 크게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 애플 관련주 삼성SDI
삼성SDI가 관련주인 이유
삼성SDI는 전기차 배터리 기술을 스마트폰에 접목해 새로운 유형의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국내 생산라인을 개조하고 있습니다. 이에 애플 아이폰용 배터리 수주를 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동사는 과거에 맥북과 아이패드 모델용 배터리를 공급한 바 있습니다.
기업소개
삼성SDI는 사업 부문은 에너지 솔루션 부문과 전자재료 부문으로 분류됩니다.
에너지 솔루션 부문은 소형전지, 중대형 전지 등의 리튬이온 이차 전지를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전자재료 사업부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합니다.
매출은 에너지 솔루션 부문 84%, 전자재료 부문 16%로 구성됐습니다. 삼성SDI의 주요 매출처로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폭스바겐, BMW, BOE 등이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6% 증가, 영업이익은 75.4% 증가, 당기순이익은 약 83% 증가했습니다.
매출원가, 판매비 등의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솔루션과 전자재료 부문 모두 매출,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삼성SDI는 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전 사업 부문에 시설투자를 계획하는 등 지속 성장을 위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5) 애플 관련주 이녹스첨단소재
이녹스첨단소재가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이녹스첨단소재는 아이폰의 커버레이와 OLED 필름 등을 애플에 납품하여 애플 관련주로 선정됐습니다.
기업소개
이녹스첨단소재는 이녹스로부터 인적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되었으며, 2017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현재 고분자 합성/배합 기술을 기반으로 한 FPCB용 소재, 반도체 PKG용 소재,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등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IT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소재별 매출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57.43%
- FPCB용 소재: 34%
- 반도체 PKG용 소재: 8.57%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88.5% 증가, 당기순이익은 100% 증가했습니다.
매출원가, 판관비 등의 비용이 모두 증가하였으나, 매출액 확대 폭이 이를 상쇄하며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됐습니다.
이녹스첨단소재는 반도체 PKG용 소재에서 풀라인업을 갖추고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며, 전방업체와의 공동개발로 소재 국산화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6) 애플 관련주 삼성전기
삼성전기가 관련주로 선정 이유
삼성전기는 아이폰 외에 애플에 독자 PC용 프로세서 'M 시리즈'에 필요한 고부가 반도체 기판 플립칩(FC)-볼그리드어레이(BGA)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업소개
삼성전기는 사업 부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컴포넌트 사업 부문: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
- 광학 통신솔루션 사업 부문: 카메라 모듈ㆍ통신 모듈을 생산
- 패키지솔루션 사업 부문: 반도체 패키지 기판을 생산
3개의 사업 부문 중 컴포넌트 부문의 매출이 약 47%로 가장 큽니다.
지역별로는 수원에 위치한 본사를 포함하여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중국, 필리핀, 베트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증가, 영업이익은 7.8% 증가, 당기순이익은 30.4% 증가했습니다.
삼성전기는 전략거래처에 대한 영업력 강화로 안정적 비즈니스를 가속화하고 중화/전장 등 성장시장에 대한 판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고부가품 판매를 확대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5G, AI 등 신규 응용처를 지속해서 발굴할 계획이며, 기업 간 협력 및 현지 대응체계도 강화하려고 합니다.
7) 애플 관련주 LX세미콘
LX세미콘이 관련주로 분류된 이유는?
LX세미콘은 지난 10월에 애플의 공급망 기업에 새롭게 이름을 올렸습니다. 애플과 어떤 부분에서 협력을 이어 나갈지는 아직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기업소개
LX세미콘은 LG그룹 소속으로, 반도체 개발 및 제조, 판매 전문업체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핵심부품(System IC)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단일 사업 부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LX세미콘의 주력제품은 Driver-IC, T-CON, PMIC이며 모바일향 P-OLED DDI, Touch Controller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 중에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5% 증가, 영업이익은 53.4% 증가, 당기순이익은 45.7% 증가했습니다.
동사 주요 제품인 Driver-IC는 당기 전체 매출액의 88.6%(전기 8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은 매출액의 99.5%를 차지합니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반도체 핵심 부품을 토털 솔루션으로 제공함은 물론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제품들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8) 애플 관련주 비에이치
비에이치 관련주로 부각된 이유는?
비에이치는 애플의 프리미엄 아이폰 위주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를 공급하고 있어 관련주로 부각되었습니다.
기업소개
비에이치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연성인쇄회로기판(FPCB)과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하고 공급하는 회사입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 모듈, 카메라 모듈, 가전용 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입니다.
고객의 대부분은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 국내 대형 IT 제조업체들이며 일본과 중국 등 해외 고객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4.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습니다.
IT 기기의 고기능·고용량화, 경박단소화가 요구되면서 FPCB의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고, 이에 고객처가 다변화되어 성장하고 있습니다.
북미 고객사가 LTPO 디스플레이를 상위 모델에 적용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SDC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9) 애플 관련주 아이티엠반도체
아이티엠반도체가 관련주로 선정된 이유는?
아이티엠반도체는 애플이 출시한 무선이어폰 '에어팟(3세대)'에 단독으로 배터리 보호회로를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소개
아이티엠반도체는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이차전지 보호회로 제품, 이차전지 배터리팩 및 센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향후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NICE 그룹에 속해있으며, NICE 그룹은 동사를 포함하여 57개 사로 국내 법인 44개 사, 해외법인 13개 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업실적
2022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3% 증가, 영업손실은 102.6% 증가, 당기순손실은 115.3% 증가했습니다.
아이티엠반도체는 국내 고객사를 대상으로 보호회로를 포함한 전자담배 기기(Set)와 카트리지 공급을 각각 제안하였고, 2021년 파트너 선정을 거쳐 2022년 양산을 개시함으로써 전자담배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동사는 2022년 차량용 통신 모듈 공급을 시작으로 ECU, Power 모듈 사업으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2. 애플 관련주, 대장주 주식 전망
- 공급망 차질로 인한 단기 실적 타격
-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부진 예상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에 대한 전망은 밝음
올해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에 따른 애플의 부품 공급망 차로 인해 단기적으로 실적에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애플의 매출액이 40억~80억 달러가량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기준을 빠르게 인상하면서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가 침체된다면 소비 부진으로 애플의 매출액이 급감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같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애플에 대한 전망은 전반적으로 밝습니다.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안 좋을 수는 있겠으나 전기차, MR 헤드셋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하며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브랜드 인지도가 세계 1위인 만큼 많은 충성고객을 확보하고 있으며, 신사업 또한 매우 기대됩니다.
애플의 성과에 따라 관련주들이 움직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애플의 성과와 전망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그럼 충분히 공부하시고 투자 여부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이 글은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습니다.
아래의 글도 읽으시면 성공적인 투자에 한 걸음 더 다가가실 수 있습니다.
3. 주식 투자자 필수 정보
'주식 > 관련주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대장주 10가지 총정리 및 주식 전망 (0) | 2022.11.13 |
---|---|
넷플릭스 관련주 7종목 | 대장주, 테마주 총정리 (0) | 2022.11.12 |
바이오 관련주 10종목 | 바이오주 테마주, 대장주 정리 (0) | 2022.11.11 |
원전 관련주 추천 TOP 9 | 원자력발전 대장주, 원전주 (0) | 2022.11.09 |
알루미늄 관련주 TOP8 총정리 | 알루미늄주 테마주, 대장주 (0) | 2022.11.08 |